삼성전자 미국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TOP 7 | 삼성전자 반도체 보조금
미국, 삼성전자에 반도체 보조금 64억 달러 파격 지원,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2024년 4월 15일, 미국 행정부는 삼성전자에 64억 달러(약 8조 8,640억 원)의 반도체 공장 설립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하였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설립 보조금은 당초 20억~30억 달러로 예상한 바 있으나, 이보다 세 배 가까운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대만의 TSMC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 66억 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미 정부의 파격적인 보조금 발표에 삼성은 대미(對美) 투자액을 대폭 늘려 반도체 공장 하나를 추가로 건설하고, 첨단 패키징(조립) 시설 및 반도체 연구·개발(R&D) 센터도 만들겠다고 합의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첨단 반도체의 20%를 미국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됐다”며 “미국 내 안전한 공급망 확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자.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는 제이엔비, 에프에스티, 워트,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 시그네틱스, 코아시아 등이 있다.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TOP 7
1. 제이엔비 (45216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 대장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제이엔비는 반도체 제조 시설에 들어가는 진공펌프 연동 장비제조와 초고진공 펌프에 들어가는 정밀가공부품 공급 사업을 중점적으로 영위하고 있다.
제이엔비는 2024년 4월 15일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에 적용할 진공 스태커(stacker)의 연구개발을 완료하였다.
제이엔비는 지난 2022년 10월부터 'S6 라인(Line) 진공펌프용 스태커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연구목적상 '미국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에 적용하기 위한 진공 스태커'로 명시한 바 있다.
S6 라인은 A2 라인의 4배 크기로 4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공정의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다.
✍ 관련 기사
https://www.fnnews.com/news/202404150904250541
2. 에프에스티 (03681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에프에스티는 포토마스크용 보호막인 펠리클(Pellicle)과 온도조절장비인 칠러(Chiller)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반도체 재료/장비 전문업체이다.
2024년 4월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프에스티는 세계 최초로 펠리클용 프레임 관련 제품을 개발해 양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에프에스티의 지분 7%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에프에스티의 반도체 펠리클 기술을 높게 사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에프에스티는 2022년 미국 델라웨어주에 신규 법인을 설립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팹이 들어서는 테일러 시에도 사업 거점을 마련할 계획을 갖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globalepic.co.kr/view.php?ud=202404151434099651abe7dc9896_29
3. 워트 (39647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워트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요한 환경제어 시스템을 개발, 제작하여 납품하는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워트의 주요 제품으로는 초정밀 온습도 제어장비(THC), 팬필터유닛(FFU), 초정밀 항온기(TCU) 등이 있다.
워트는 삼성전자의 오스틴 법인에 초정밀 온습도 제어장비(THC)를 이미 납품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워트는 지난 2023년 10월에 투자설명서를 통해 "미국 테일러시의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공장(Fab)에 THC장비 도입이 확정될 시 이를 토대로 미국 현지 지사를 설립, 유지관리 및 현지 영업을 직접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최근 제출한 사업보고서에도 "삼성전자 서안 법인과 오스틴법인에도 납품을 하고 있으며, 향후 테일러 법인에도 납품할 계획"이라고 기재했다.
✍ 관련 기사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40914080172088
4. 에스앤에스텍 (10149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에스앤에스텍은 반도체 및 TFT LCD 생산에 쓰이는, 노광 공정의 핵심 재료인 포토마스크의 원재료로써 패턴이 노광되기 전 마스크인 블랭크 마스크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다.
삼성전자 테일러 반도체 공장은 2026년부터 4나노미터 및 2 나노미터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4 나노 이하 반도체 초미세 회로를 새기기 위해서는 EUV 노광 공정이 필수이다.
펠리클은 반도체 초미세 회로를 새기는 EUV(극자외선) 노광 공정에 쓰이는 주요 부품으로, 에스앤에스텍은 2024년 완공예정인 경기도 용인공장에서 EUV 펠리클을 양산할 예정이다.
펠리클은 반도체 회로 패턴이 그려진 포토마스크에 이물이 묻지 않도록 해 손상을 방지한다. EUV 공정에는 포토마스크 한 장이 수억 원에 달하는 만큼, 반도체 생산 원가를 줄이기 위해서는 펠리클로 포토마스크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관련 기사
https://www.etnews.com/20240227000362
5. 동진쎄미켐 (00529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 대체 에너지용 재료와 발포제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동진쎄미켐이 제조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재료는 감광액, 반사방지막, SOC, 연마제, Wet Chemical, Colored Resist 등이 있다.
동진쎄미켐은 미국 텍사스주 킬린 비즈니스 파크에 7000만 달러(약 909억 원)를 투자하여 신규 공장을 건설중에 있으며 2024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 관련 기사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21202500054#_enliple
https://www.etnews.com/20240320000262
6. 시그네틱스 (03317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시그네틱스는 반도체 패키징업(테스트포함)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제조 과정 중 후공정에 속하는 산업이다.
시그네틱스는 지난 2021년에 삼성전자가 미국 신규 반도체 공장을 텍사스주 테일러시로 확정과 관련하여 부각된 전력이 있어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moneys.co.kr/article/2021122209378039878
7. 코아시아 (045970)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 편입 사유
코아시아는 CoAsia SEMI(시스템반도체 디자인), ITSWELL(LED), 코아시아옵틱스(광학렌즈), CoAsia CM VINA(카메라모듈), CoAsia Elec.(삼성전자 공식 대리점) 등을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다.
코아시아 또한 시그네틱스와 동일하게 2021년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신규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부지를 확정할 것이라는 소식에 부각된 전력을 갖고 있어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91511073009979
결론
테일러 반도체 공장 관련주는 제이엔비, 에프에스티, 워트, 에스엔에스텍, 동진쎄미켐, 시그네틱스, 코아시아 등이 있다.
삼성전자가 미국 행정부로 부터 64억 달러의 파격적인 지원을 받으며, 삼성전자 또한 추가적인 패키징 시설 및 R&D 센터 건설에 합의한 만큼 관련 종목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