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TOP 11 총정리 | 전고체 배터리 대장주, 테마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차세대 배터리 로드맵 공개,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국내 최대 배터리 박람회 ‘인터배터리 2024’에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사업 확장 계획과 미래 청사진을 발표하였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46파이 배터리의 양산 준비는 끝냈다”며 “고객에 따라서 양산 시기를 조절해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원통형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2170 원통형 배터리(지름 21㎜·높이 70㎜)보다 부피당 에너지밀도와 용량을 향상한 제품이다.
삼성SDI는 이와 함께 900Wh/L(와트시리터) 에너지 밀도를 갖춘 전고체 배터리(ASB) 양산 로드맵도 공개했다. 자체 개발한 고체 전해질에 무(無)음극 기술을 도입해 부피를 줄이고, 에너지 밀도는 현재 주력인 각형 배터리보다 40% 늘렸다. 최 사장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 목표는 2026년”이라며 “전고체 배터리는 2027년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고체 관련주는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레이크머티리얼즈, 필에너지, 씨아이에스, 유일에너테크, 한농화성, 피엔티, 미래컴퍼니, 소프트센, 하나기술, 그래디언트 등이 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11
1.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 전고체 배터리 관련 대장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2023년 5월 31일 이수화학의 정밀화학 및 전고체전지소재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다.
전고체 배터리에서 가장 핵심 소재는 바로 황화리튬(Li2S)이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연간 40톤의 황화리튬 생산 CAPA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의 모기업인 이수화학은 지난 2023년 4월에 미국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회사 KBR (Kellogg Brown & Root·켈로그브라운앤루트)과 전고체 배터리 소재 황화리튬(Li2S)의 상업공정 공동 개발 계약을 맺은 바 있으며 이로 인해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은 향후 수천 톤의 CAPA 증설이 예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SDI가 현재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황화물계를 취급하는 기업들이 전고제 배터리 관련 종목에서 가장 선두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www.business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40902
2. 레이크머티리얼즈 (281740) : 전고체 배터리 관련 대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레이크머티리얼즈는 국내에서는 유일한 TMA 제조 가능 업체이다.
유기금속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이수스페셜티케미컬과 같은 황화리튬(Li2S) 관련주이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연간 120톤의 황화리튬 생산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대비 3배의 생산능력이다.
삼성SDI가 현재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황화물계를 취급하는 기업들이 전고제 배터리 관련 종목에서 가장 선두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www.business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42333
3. 필에너지 (37834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필에너지는 이차전지의 조립 공정 중 핵심 설비를 제작하는 기업이다.
Tab을 형성하는 Laser Notching 설비, 음극과 양극의 극판을 적절한 크기로 Cutting 후, 분리막과 번갈아 적층 하여 Jelly Roll을 제작하는 Stacking 설비 제작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필에너지의 2대 주주는 삼성SDI로 14.15%의 지분율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필에너지는 삼성SDI의 주력 협력사로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필에너지는 삼성SDI가 내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46㎜ 지름에 4개 높이로 구성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품목 중 하나인 4680배터리용 권취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전고체 배터리 스태킹(Stacking)' 장비도 개발, 고객사의 파일럿 라인에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30713143014626
4. 씨아이에스 (22208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씨아이에스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 설비 등을 생산하고 있다.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씨아이에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국책과제의 총괄 연구기관으로 선정된바 있다. 이 국책과제는 50kg/batch 황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개발을 목표로 한다.
씨아이에스는 현재 고체전해질 시트화기술과 고체전해질이 코팅된 전극복합체 코팅기술, 그리고 전고체전지 전극 라미네이션 및 압연 공정기술을 연구 중에 있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참고로 미래에셋증권 전고체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생산 방식 전환 시 전극과 조립 공정 추가 장비가 필요 전극 공정에서는 전고체를 집전체에 발라주는 코팅 공정,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압연 공정, 그리고 압출 생산 공정과 라미네이션 공정이 추가된다.
조립 공정에서는 액체 상태의 전해액을 주입하는 Filing 장비가 없어지고, 접촉 계면을 극대화하기 위한 WIP(Warm Isostatic Press) 장비가 도입될 것이다.
활성화 공정에서는 기존 액체 상태의 배터리에서 SEI 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일부 포메이션과 에이징 공정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308887
5. 유일에너테크 (34093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유일에너테크는 전기 자동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장비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제작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모듈 팩을 조립 생산하는 Module & Packline 자동화 장비제작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유일에너테크는 지난 2023년 4월에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생산라인에 노칭 공정 장비를 납품한 바 있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유일에너테크는 지난 2024년 3월 3일 현대자동차가 발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으로 수주한 바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etnews.com/20240303000025
6. 한농화성 (01150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한농화성 제품은 사업부문별로 GE(Glycol Ethers), EOA(Ethylene Oxide Additives), EM(Emulsifier)으로 나뉜다.
한농화성은 2021년 9월에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 국책과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한농화성은 현재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을 개발 중에 있으며,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이 참여기관으로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etoday.co.kr/news/view/2337911
7. 피엔티 (13740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피엔티는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 전지의 분리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소재 및 2차 전지용 극박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한다.
전고체 배터리 생산 방식 전환 시 전극과 조립 공정에 추가 장비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엔티는 전극 공정에 특화된 기업으로 전고체용 전극 공정 장비 개발 중에 있으며, 현재 관련 기업과 협업을 통해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 관련 기사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38310
8. 미래컴퍼니 (04995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미래컴퍼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미래디피를 통해 Touch 패널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미래컴퍼니는 오는 2024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정부 과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21년에 미래컴퍼니는 정부와 삼성SDI로부터 지원을 받는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3120415302291cd1e7f0bdf_23
9. 소프트센 (03268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소프트센은 서버/스토리지 등 제반 IT 인프라의 구축, 컨설팅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ICT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신소재 시스템 사업과 산업용 X-Ray 검사장비 사업으로 영역을 넓혔다.
소프트센은 2024년 2월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인 솔리드파워로부터 차세대 배터리 R&D 생산설비를 턴키로 수주한 바 있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 관련 기사
https://www.fnnews.com/news/202402211350053147
10. 하나기술 (29903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하나기술은 국내 2차 전지 장비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이차전지 제조 3 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Murata, 태국의 GPSC 등을 확보하고 있다.
하나기술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2차전지 전공정 장비 턴키 공급이 가능한 업체이다.
전고체 배터리 생산 방식 전환 시 전극과 조립 공정에 추가 장비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립 공정에서는 WIP(Work In Progress)에 높은 압력과 온도가 중요한데, 하나기술은 조립 공정에 사용될 최대 700MPa, 200℃ 스펙의 WIP 장비를 개발하고 현재 고객사와 협업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11. 그래디언트 (035080)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편입 사유
그래디언트의 사업부문은 계열회사를 총괄 관리 및 지원하는 지주사업, 전자상거래업, 바이오헬스케어사업, 기타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래디언트는 지난 2023년 9월에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 정석케미칼 지분 17.94%(38만 98주)를 취득해 2대 주주에 등극한 바 있어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다.
차선용 도료 1위 기업인 정석케미칼은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고순도(99.99%) 황화리튬(Li₂S) 양산 기술 개발에 성공했으며, 주요 납품처는 에코프로비엠(EcoProBM), 미국 솔리드파워(Solid Power) 등 글로벌 전고체배터리 개발 회사다.
✍ 관련 기사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13775
결론
전고체 관련주는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레이크머티리얼즈, 필에너지, 씨아이에스, 유일에너테크, 한농화성, 피엔티, 미래컴퍼니, 소프트센, 하나기술, 그래디언트 등이 있다.
한국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점을 2027년~2030년으로 구체화하여 미래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려고 한다.
또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3국에서도 차세대 배터리 선점을 위한 경쟁에 들어간 만큼 전고체 배터리 관련 테마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