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 (241710) 종목 분석 | 지금은 매수할 때
지금은 매수할 때, 코스메카코리아(feat 하나증권)
코스메카코리아 기업개요
코스메카코리아 기업개요
화장품 주문자 표시 제조 및 판매, 개발 등을 하는 동사는 기초화장품의 ODM(생산자 개발방식) 제조 및 OEM(주문자 상표부착 방식)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함.
동사는 국내 최초 3중 기능성 BB크림을 개발한 화장품 회사이며, 현재 연구개발 인력이 전체의 약 40% 수준임.
2018년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잉글우드랩 인수를 통해 미국 등에 생산거점을 추가 확보함.
코스메카코리아 투자정보
✔️ 현재주가 : 34,900원(2024.03.29. 기준)
✔️ 시가총액 : 3,727억 원(2024.03.29. 기준)
✔️ 발행주식수 / 유동비율 : 10,680,000주 / 60.02%
✔️ 액면가 : 500원
✔️ 외국인 지분율 : 3.38%
✔️ 업종 : 화장
✔️ 관련 테마
➡️ 화장품, 화장품 OEM/ODM : 화장품 연구개발 및 개발생산 전문업체.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으로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세계 최초로 3중 기능성비비크림, 톤업크림, DPF 기술 등을 개발. 잉글우드랩(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 네옴시티 : 과거 업무협약 체결한 이력이 있는 사빅이 네옴시티 프로젝트 워크숍에 참여해 부각
코스메카코리아 재무정보
✔️ 코스메카코리아의 2023년 실적은 매출액 4,707억 원(YoY +17.9%), 영업이익 492억 원(YoY +374.1%), 당기순이익 339억 원(YoY +464.5%)로 2022년 대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크게 성장하였다.
✔️ 코스메카코리아는 국내와 미국 모두 두자릿수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 법인의 흑자기조로 호실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 코스메카코리아의 4Q23 매출액은 1,227억 원(YoY +15.3%)이며, 영업이익은 150억 원(YoY +300.1%)을 기록하였다.
코스메카코리아 차트정보
✔️ 코스메카코리아는 3월 초 이후 단기간에 18% 낙폭을 보였다. 참고로 동일기간 동안 화장품 업종은 6% 상승하였고, 코스닥은 4% 상승하였다.
코스메카코리아 투자포인트
투자포인트1 : 과도한 주가 하락, 지금은 매수할 때
✔️ 코스메카코리아는 3월 초 이후 18%의 큰 낙폭을 보이며, 화장품 업종(6% 상승)과 코스닥의 상승(4% 상승)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 이는 시장/섹터 내 대형주로의 수급 이동과 미국법인의 실적 우려에 기인한다. 미국법인은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비 두자릿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계절성으로 인한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시장 분위기가 있다.
✔️ 전문가들은 코스메카코리아의 주가 하락은 과도한 것으로 판단하며, 현재 시점이 매수 적기로 보고 있다.
투자포인트2 : 코스메카코리아는 변한 것이 없다
✔️ 코스메카코리아는 2024년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1,300억 원(전년 대비 11% 증가), 영업이익 144억 원(전년 대비 56%)등 양호한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 한국과 미국법인 모두 두자릿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법인은 다소 매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흑자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법인 : 한국법인은 매출 725억원, 영업이익 7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포인트메이크업을 중심으로 고객 주문 증가와 제품믹스 개선으로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
✔️ 미국법인 : 미국법인은 영업 확대와 주요 고객사에 대한 관세 면제, OTC 주문 증가 등 우호적인 환경에 힘입어 매출 528억원, 영업이익 67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법인 : 매출이 다소 약하나, 손익을 보도 우선한 영향으로 향후, 기능성 중심 수주 확보를 목표로 한다.
투자포인트3 : 2024년 미국 매분기 성장 전망
✔️ 코스메카코리아는 2024년 핵심은 미국 기능성(OTC) 제품/고객군 확보이다.
✔️ 코스메카코리아는 역사상 최대 건수를 확보(FDA Fillings)했으며, 동종 기업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가 불가능하다.
✔️ 코스메카코리아는 글로벌 고가/더마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부터 수주가 본격화가 예상되어 미국 법인의 매출은 매분기 성장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종목 분석 내용은 참고용이며, 투자의 결정 및 결과는 오로지 투자자 본인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댓글